빠른예약

소식/자료News/Resources

언론 방송

경찰의 음주 측정 거부, 음주 단속보다 형량에 유리할까 [문건일 변호사]

언론 방송 24-01-12

본문

음주측정 거부는 음주운전보다 형량이 높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경찰관이 몇 차례 측정을 요구했으나 별다른 이유 없이 3회 이상 불응했다면,

그 자리에서 유죄가 성립될 수 있습니다.



음주측정 거부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에서 2천만 원의 벌금형이 선고됩니다.

이는 혈중 알코올 농도가 0.2% 미만일 경우 받게 되는 형량보다 높은데요.



적당한 음주는 삶에 즐거운 활력소를 제공해주는 일이 될 수 있으나,

자신의 주량을 넘어선 과도한 음주는 사건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음주 측정 거부 사건들은 초기 단계에서

명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대응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선처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명확한 증거 확보, 변론 등의 준비가 필요한데요.



형사 사건은 어떤 변호인을 선임하는지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법무법인 일로는 전문성 있는 법률 조력으로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도움이 필요하신 분은 법무법인 일로의 대표번호로 문의 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언론 보도


db690057a66e913d485c30ceb81139f2_1705035317_2995.png
 



경찰의 음주측정을 거부한 사례가 한 해에만 무려 4천 건에 달한다고 합니다.

당장 단속되는 것보다 형량이 낮다고 판단해서일텐데, 과연 올바른 행동일까요?

이시열 기자가 사실을 확인해봤습니다.




【 기자 】

지난해 12월 29일 새벽, 그룹 'UN' 출신 가수 겸 배우인 김정훈 씨가 음주 측정 거부 혐의로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 스탠딩 : 이시열 / 기자


- "김 씨는 이곳 남부순환로에서 앞서가던 차량과 사고를 냈는데요.

당시 경찰은 김 씨에게 음주측정을 세 차례나 요구했지만, 김 씨는 불응했고 결국 경찰에 입건됐습니다."



과거에도 유명 연예인들의 음주 측정 거부 사태는 이어져 왔습니다.


지난 2021년엔 래퍼 노엘, 이듬해인 2022년에는 그룹 신화의 멤버 신혜성도 음주 측정을 거부해 경찰에 체포됐습니다.



▶ 스탠딩 : 이시열 / 기자


- "음주 측정 거부 건수는 지난 2022년엔 4천 건에 달할 정도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요.

과연 이렇게 측정을 거부하는 게 음주 운전에 적발되는 것보다 형량이 낮은 걸까요?"



음주측정을 거부하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에서 2천만 원의 벌금형이 선고되는데,

이는 혈중 알코올 농도가 0.2% 미만일 경우 받게 되는 형량보다 높습니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0.2% 이상인 경우엔 측정거부죄의 법정형의 하한선만 낮을 뿐입니다.



만약 측정을 거부하더라도 사후영장을 통해 음주운전까지 적발된다면 두 가지 혐의가 모두 성립해 처벌이 가중될 수도 있습니다.



▶ 인터뷰 : 문건일 / 변호사


- "측정거부죄의 경우 재판부에서 질이 좋지 않다고 보기 때문에 실제 형량은 음주 운전보다 더 많이 나오는 편입니다."



▶ 스탠딩 : 이시열 / 기자


-"취재를 종합해보면 음주측정 거부가 음주 운전에 적발되는 것보다 형량이 낮다는 명제는 사실이 아닙니다.

무엇보다도 술을 마시고 절대 운전대를 잡지 않는 게 중요하겠죠. MBN뉴스 이시열입니다."



이시열 기자


출처: https://www.mbn.co.kr/news/society/4994139









담당변호사

상담문의

많이 본 언론 방송

게시물 검색

언론 방송

X

개인정보처리방침

법무법인 일로(이하 “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된 정보주체의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제 1 조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목적, 방법
제 2 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제 3 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제 4 조 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제 5 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제 6 조 개인정보의 파기
제 7 조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제 8 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제 9 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제 1 조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목적, 방법)
① 게시판 글 작성 시 필수 항목에 대한 수집목적은 ‘별도의 구체적 상담을 위하여’이며 수집항목은 ‘이름, 이메일, 연락처’입니다.
② 전항 외에 고객의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요청 사항 처리 과정에서 ‘IP주소, 접속로그, 단말기 및 환경정보, 서비스 이용기록, 쿠키’와 같은 정보들이 자동으로 수집 및 저장될 수 있으며, 이 때의 수집목적은 ‘사용자 홈페이지 이용, 사이트 이용에 대한 문의 민원 등 고객 고충 처리’입니다.
③ 사무소는 ‘홈페이지 고객 문의/고충 처리 시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한 상담’과 같은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제 2 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관계법령의 규정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의무가 있는 경우가 아닌 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는 원칙적으로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목적이 달성될 때까지 보유 및 이용되며, 그 목적이 달성되면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제 3 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본 처리방침에서 명시한 목적에 한해서만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동의가 있는 경우 또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거한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사무소는 현재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제 4 조 (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사무소는 현재 귀하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귀하의 개인정보를 직접 취급 관리하고 있습니다. 단, 향후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3의 전문기관에 귀하의 정보를 위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귀하의 사전 동의 하에 개인정보에 대한 취급을 위탁할 수 있습니다.

제 5 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① 정보주체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사무소에 대해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및 삭제, 처리정지 요구 등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② 제1항에 따른 권리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사람을 통해서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법 시행규칙에 따른 위임장을 사무소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③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권리행사에 대하여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제 6 조 (개인정보의 파기)
① 사무소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의 처리목적이 달성된 경우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 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사무소가 관계법령의 규정에 따라 개인정보를 파기하지 아니하고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 또는 개인정보파일을 다른 개인정보와 분리해서 저장·관리 합니다.
③ 사무소는 파기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여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④ 사무소는 파기하여야 할 개인정보가 전자적 파일 형태인 경우 복원이 불가능한 방법으로 영구 삭제하며, 이외의 기록물, 인쇄물, 서면, 그 밖의 기록매체인 경우 파쇄 또는 소각합니다.

제 7 조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아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또는 담당부서에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하여 신속하고 충분한 답변을 드릴 것입니다.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 문건일 변호사
연락처 : 02.6952.5877

제 8 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사무소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관련 법령, 지침 및 사무소 내부규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 처리방침이 변경되는 경우 관련 법령이 정하는 방법에 따라 공개합니다.

제 9 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사무소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구성원에 대한 정기적인 개인정보 보호교육 등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의 설치 등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 개인정보 보관장소에 대한 접근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