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예약

소식/자료News/Resources

언론 방송

김건희 목걸이로 '블레임 룩' 대열 합류?…"사회적 물의 별개로 보면 안돼" | 정구승 변호사

언론 방송 25-08-21

본문

지난 2022년 6월 나토 정상회담 당시 김건희 여사는 6천만 원대 목걸이를 착용했습니다. 목걸이의 가품 논란까지 일었던 가운데 이런 이슈에 편승해 수익을 노린 모조품까지 등장하기 시작했는데요.


무려 6천만 원에 달하는 목걸이가 단돈 6만 원에 판매되고 있는 상황 웹 쇼핑몰에 검색하면 이외에도 수많은 상품들이 '김건희' 이름을 내세우고 있으며, 명품 매장에도 김건희 씨가 착용했던 브랜드에 대해 문의하는 손님이 늘었습니다.


특별검사의 수사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도 브랜드 자체에 대한 대중의 인지도는 점점 높아지는 아이러니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법무법인 일로 정구승 대표변호사는 "해당 현상을 블레임 룩이라고 합니다. 블레임 룩은 사회적으로 물의를 빚거나 비난받는 대상의 소지품이나 의상이 갑자기 대중들의 관심과 인기를 끌게 되는 현상을 의미하는데요."라고 말했습니다.





cf0fe80e0593aea9311431534673484b_1755759435_673.jpg
 





[지난 2022년 6월 나토 정상회담 당시 김건희 여사는 6천만 원대 목걸이를 착용했습니다.]


목걸이의 가품 논란까지 일었던 가운데 이런 이슈에 편승해 수익을 노린 모조품까지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무려 6천만 원에 달하는 목걸이가 단돈 6만 원에 판매되고 있는 상황 웹 쇼핑몰에 검색하면 이외에도 수많은 상품들이 '김건희' 이름을 내세웁니다.


명품 매장에도 김건희 씨가 착용했던 브랜드에 대해 문의하는 손님이 늘었다고 합니다.


[이상일/중고 명품숍 운영자 : 김건희 씨가 착용했던 브랜드가 이렇게 많이 대중적으로 소비되는 브랜드는 아니기 때문에 찾는 비중이 그렇게 많지는 않았었습니다. 그런데 아무래도 요즘 이슈가 되면서 좀 더 문의가 많아진 건 사실입니다.]


특별검사의 수사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도 브랜드 자체에 대한 대중의 인지도는 점점 높아지는 아이러니한 모습입니다.


[정구승/변호사 : 해당 현상을 블레임 룩이라고 합니다. 블레임 룩은 사회적으로 물의를 빚거나 비난받는 대상의 소지품이나 의상이 갑자기 대중들의 관심과 인기를 끌게 되는 현상을 의미하는데요.]


1999년 탈옥수 신창원이 입었던 화려한 티셔츠가 화제를 부른 것을 시작으로 2011년 개그맨 신정환 씨가 입국할 때 입었던 점퍼, 2016년 최순실 씨가 검찰 출석 때 신었던 신발도 큰 관심을 받으며 매출이 상승한 바 있습니다.


부정적 이슈로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낼 때 착용한 것들이 더 관심을 받고 있는 겁니다.


[하재근/문화평론가 : 악명도 유명이라고 해서 일단 유명해지면 그 자체에 대중이 조금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그런 경향이 있고 유명한 사람이 설사 악행을 저질렀다 할지라도 사람들의 선망이 되는 이런 특징이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김건희 씨의 안경, 원피스, 가방까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사회적 관심 속 인물의 패션은 언제나 주목받지만 이를 재미거리로 바라보거나 일종의 유행처럼 여기는 것은 주의해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하재근/문화평론가 : 악행을 저질렀다는 것은 분명히 반사회적 행위를 했다는 뜻인데 그 사람이 한 복장에 대해서 그렇게 선망의 시선을 보내고 화제가 되고 하는 것은 악행에 대한 사회의 경각심을 무디게 할 우려가 있고 우리 사회의 어떤 시비 판단 선악에 대한 판단이 흐려지는 악영향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는 대중이 좀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출처: [자막뉴스] 김건희 목걸이로 '블레임 룩' 대열 합류?…"사회적 물의 별개로 보면 안돼"


담당변호사

상담문의

많이 본 언론 방송

게시물 검색

언론 방송

X

개인정보처리방침

법무법인 일로(이하 “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된 정보주체의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제 1 조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목적, 방법
제 2 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제 3 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제 4 조 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제 5 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제 6 조 개인정보의 파기
제 7 조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제 8 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제 9 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제 1 조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목적, 방법)
① 게시판 글 작성 시 필수 항목에 대한 수집목적은 ‘별도의 구체적 상담을 위하여’이며 수집항목은 ‘이름, 이메일, 연락처’입니다.
② 전항 외에 고객의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요청 사항 처리 과정에서 ‘IP주소, 접속로그, 단말기 및 환경정보, 서비스 이용기록, 쿠키’와 같은 정보들이 자동으로 수집 및 저장될 수 있으며, 이 때의 수집목적은 ‘사용자 홈페이지 이용, 사이트 이용에 대한 문의 민원 등 고객 고충 처리’입니다.
③ 사무소는 ‘홈페이지 고객 문의/고충 처리 시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한 상담’과 같은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제 2 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관계법령의 규정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의무가 있는 경우가 아닌 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는 원칙적으로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목적이 달성될 때까지 보유 및 이용되며, 그 목적이 달성되면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제 3 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본 처리방침에서 명시한 목적에 한해서만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동의가 있는 경우 또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거한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사무소는 현재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제 4 조 (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사무소는 현재 귀하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귀하의 개인정보를 직접 취급 관리하고 있습니다. 단, 향후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3의 전문기관에 귀하의 정보를 위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귀하의 사전 동의 하에 개인정보에 대한 취급을 위탁할 수 있습니다.

제 5 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① 정보주체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사무소에 대해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및 삭제, 처리정지 요구 등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② 제1항에 따른 권리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사람을 통해서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법 시행규칙에 따른 위임장을 사무소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③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권리행사에 대하여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제 6 조 (개인정보의 파기)
① 사무소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의 처리목적이 달성된 경우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 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사무소가 관계법령의 규정에 따라 개인정보를 파기하지 아니하고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 또는 개인정보파일을 다른 개인정보와 분리해서 저장·관리 합니다.
③ 사무소는 파기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여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④ 사무소는 파기하여야 할 개인정보가 전자적 파일 형태인 경우 복원이 불가능한 방법으로 영구 삭제하며, 이외의 기록물, 인쇄물, 서면, 그 밖의 기록매체인 경우 파쇄 또는 소각합니다.

제 7 조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아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또는 담당부서에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하여 신속하고 충분한 답변을 드릴 것입니다.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 문건일 변호사
연락처 : 02.6952.5877

제 8 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사무소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관련 법령, 지침 및 사무소 내부규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 처리방침이 변경되는 경우 관련 법령이 정하는 방법에 따라 공개합니다.

제 9 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사무소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구성원에 대한 정기적인 개인정보 보호교육 등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의 설치 등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 개인정보 보관장소에 대한 접근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