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예약

소식/자료News/Resources

소식

아청법변호사, 실형 선고가 나올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기에 반드시 <필독>

소식 25-09-19

본문

030075d6b3e020a3d29604ae7525fa60_1758273008_2293.png


 


아청법 위반 혐의를 받으면 “설마 구속까지 되겠어?”라고 가볍게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훨씬 냉정합니다.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아청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무겁게 다루는 법률 중 하나라서, 초범이라도 합의가 안 되면 집행유예 없이 실형이 선고될 수 있습니다


인생 전체가 걸린 문제이기에, 사건 초기부터 반드시 아청법변호사와 함께해야 합니다.


 

030075d6b3e020a3d29604ae7525fa60_1758273025_8306.png


 

경찰 조사에서 말실수 한 번이 인생을 뒤바꿀 수 있습니다. 


“일부로 한 건 아니다”라는 말이 수사관 기록에는 ‘행위 인정’으로 남을 수 있고, 이게 판사에게 그대로 전달됩니다. 


혼자 조사 받다가는 스스로 불리한 길을 만드는 겁니다. 


변호사가 옆에서 방향을 잡아줘야만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막을 수 있습니다.


 

030075d6b3e020a3d29604ae7525fa60_1758273032_5167.png



 

아청법 사건에서는 휴대폰, 노트북, 클라우드까지 포렌식이 들어갑니다. 


문제는 단순 저장이나 우연한 파일이라도 ‘성착취물 제작·소지’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겁니다. 


그 결과 초범임에도 바로 징역형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청법변호사는 증거 수집 과정의 문제점을 짚고, 성착취물로 볼 수 없는 부분을 걸러내서 사건의 무게를 줄여줍니다.


 

030075d6b3e020a3d29604ae7525fa60_1758273040_2064.png


 

아청법 위반 사건에서 피해자가 미성년자라면 합의는 거의 필수입니다. 


합의가 없으면 초범이라도 실형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직접 연락하면 ‘2차 피해’로 더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합의 시도 자체가 구속 사유가 된 사례도 있습니다. 


변호사를 통해 법적으로 안전하게 합의를 이끌어야만, 처벌불원의견서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030075d6b3e020a3d29604ae7525fa60_1758273046_0926.png


 

판사가 가장 보는 건 피고인이 반성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을 거라는 점입니다. 


이를 보여주려면 반성문, 교육 수료증, 봉사활동 내역 같은 양형 자료를 제대로 준비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무렇게나 준비하면 효과가 없습니다. 


변호사가 전략적으로 준비해줄 때만 판사가 마음을 움직일 수 있고, 그게 실형과 집행유예를 가르는 마지막 열쇠가 됩니다.



030075d6b3e020a3d29604ae7525fa60_1758273058_2071.png



 

아청법 위반 사건은 결코 장난이나 실수로 끝나는 범죄가 아닙니다. 


합의가 없거나 증거가 명확하면 초범이라도 곧바로 구속될 수 있습니다. 


“설마 교도소까지 가겠어?”라는 안일한 생각이 가장 위험합니다.


저희 법무법인 일로는 수많은 아청법 사건을 맡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초기 조사 대응부터 합의, 양형 전략까지 철저하게 준비합니다. 


두려움과 불안 속에서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지금 바로 저희와 상의하세요. 법무법인 일로가 끝까지 해결해드리겠습니다.




담당변호사

상담문의

많이 본 소식

게시물 검색

소식

X

개인정보처리방침

법무법인 일로(이하 “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된 정보주체의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제 1 조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목적, 방법
제 2 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제 3 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제 4 조 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제 5 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제 6 조 개인정보의 파기
제 7 조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제 8 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제 9 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제 1 조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목적, 방법)
① 게시판 글 작성 시 필수 항목에 대한 수집목적은 ‘별도의 구체적 상담을 위하여’이며 수집항목은 ‘이름, 이메일, 연락처’입니다.
② 전항 외에 고객의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요청 사항 처리 과정에서 ‘IP주소, 접속로그, 단말기 및 환경정보, 서비스 이용기록, 쿠키’와 같은 정보들이 자동으로 수집 및 저장될 수 있으며, 이 때의 수집목적은 ‘사용자 홈페이지 이용, 사이트 이용에 대한 문의 민원 등 고객 고충 처리’입니다.
③ 사무소는 ‘홈페이지 고객 문의/고충 처리 시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한 상담’과 같은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제 2 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관계법령의 규정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의무가 있는 경우가 아닌 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는 원칙적으로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목적이 달성될 때까지 보유 및 이용되며, 그 목적이 달성되면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제 3 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본 처리방침에서 명시한 목적에 한해서만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동의가 있는 경우 또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거한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사무소는 현재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제 4 조 (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사무소는 현재 귀하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귀하의 개인정보를 직접 취급 관리하고 있습니다. 단, 향후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3의 전문기관에 귀하의 정보를 위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귀하의 사전 동의 하에 개인정보에 대한 취급을 위탁할 수 있습니다.

제 5 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① 정보주체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사무소에 대해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및 삭제, 처리정지 요구 등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② 제1항에 따른 권리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사람을 통해서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법 시행규칙에 따른 위임장을 사무소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③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권리행사에 대하여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제 6 조 (개인정보의 파기)
① 사무소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의 처리목적이 달성된 경우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 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사무소가 관계법령의 규정에 따라 개인정보를 파기하지 아니하고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 또는 개인정보파일을 다른 개인정보와 분리해서 저장·관리 합니다.
③ 사무소는 파기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여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④ 사무소는 파기하여야 할 개인정보가 전자적 파일 형태인 경우 복원이 불가능한 방법으로 영구 삭제하며, 이외의 기록물, 인쇄물, 서면, 그 밖의 기록매체인 경우 파쇄 또는 소각합니다.

제 7 조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아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또는 담당부서에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하여 신속하고 충분한 답변을 드릴 것입니다.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 문건일 변호사
연락처 : 02.6952.5877

제 8 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사무소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관련 법령, 지침 및 사무소 내부규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 처리방침이 변경되는 경우 관련 법령이 정하는 방법에 따라 공개합니다.

제 9 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사무소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구성원에 대한 정기적인 개인정보 보호교육 등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의 설치 등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 개인정보 보관장소에 대한 접근통제